본문 바로가기

YOGA_Note/ASANAS

(10)
파당구쉬타아사나&파다하스타아사나(Padangusthasana&Padahstasana) 파당구쉬타아사나(Padangusthasana) -. 서서 엄지발가락 잡는 자세 -. 선 자세 파다하스타아사나(Padahastasana) -. 몸을 앞으로 구부려서 손 위에 서 있는 자세 -. 선 자세 san pron. meaning Pada 파다 발 Angustha 앙구스타 엄지발가락 Hasta 하스타 손 아쉬탕가의 시퀀스에서 수리야나마스카라 A&B 다음으로 행하는 자세인 파당구쉬타아사나와 파다하스타아사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두 자세 모두 선 자세에서 전굴 하는 동작은 똑같지만 손의 형태가 다른 차이점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허벅지 뒤쪽인 햄스트링과 상체를 이완하는데 이 써서 좋아하는 아사나이다. 아사나의 이름이 손과 발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그런지 상징성에 대한 자료는 많이 없는 것 같다. 효과 파다하스타..
아도 무카 스바나아사나(Adho Mukha Svanasana)_다운 독 아도 무카 스바나아사나(Adho Mukha Svanasana) -. 아래를 향한 개 자세(다운 독) -. Downward Facing Dog Pose -. 대칭형의 팔로 지지하는 전도 자세 san pron. meaning adho 아도 아래로 mukha 무카 얼굴 shvana 스바나 개 아래를 향한 자세(다운 독)의 상징성 개를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라고 여기는 문화권이 많지만, 인도에게 개는 그리 좋은 평판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인도에서는 개를 자칼과 동일시하며, 죽은 고기 등을 닥치는대로 먹고사는 잡식성의 불결한 동물로 간주한다. 인도에서 개들은 대부분 떠돌아다니는 들개 생활을 한다. 베다 문화에서 동물은 자아 또는 미천한 본성을 상징한다. 이후에 개는 바이라바bhairava(공포스러운 모습을 ..
우스트라아사나(Ustrasana)_낙타자세 우스트라아사나(Ustrasana) -. 낙타 자세 -. Camel Pose -. 대칭형의 무릎 꿇어 후방 굴곡 자세 san pron. meaning ustra 우스트라 낙타 낙타 자세의 상징성 낙타 자세에서 요기의 몸은 낙타를 연상시킨다. 뒷다리는 뻗어 있고 앞다리는 구부린, 일어서고 있는(혹은 앉고 있는) 낙타의 모습이 요기의 몸을 통해 표현된다. 낙타는 독립성, 지구력, 저항력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낙타는 등에 지방을 저장하고 필요시에 이를 물, 영양분, 에너지로 바꿀 수 있기에 일정 기간 동안 자급자족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극한 온도에서 몸을 보호한다. 낙타 자세를 통해 요기는 낙타의 탁월한 능력들을 기르고자 한다. 낙타자세를 통해 우리는 오아시스가 나타나지 않는 길..
사바아사나(Savasana) 사바아사나(Savasana) -. 송장 자세 -. Corpase Pose -. 므리타아사나(mrtasana) -. 대칭형의 바로 누운 자세 san pron. meaning sava 사바 송장, 시체 mrta 므리타 사망 시체 자세의 상징성 사바아사는 수행하기가 가장 쉬운 아사나지만 터득하기가 가장 힘든 자세라고들 한다. 요기는 몸에 힘을 완전히 빼고 등을 바닥에 대고 누워서 내려놓는 연습을 한다. 먼저 움직임을 멈춘다. 눈을 감고, 감각하기를 멈추고, 자신을 둘러싼 세계의 자극으로부터 멀어지는 연습을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요기는 정신을 차분히 가라앉는다. 일상적으로 에너지는 생각의 소용돌이 속에 허비되지만, 시체 자세에서 에너지는 몸과 정신을 집중하는데 쓰인다. 다만, 시체 자세로 잠들지 않도록 주의해..
부장가아사나(Bhujangasana) 부장가아사나(Bhujangasana) -. 코브라 자세 -. 대칭형의 엎드려 누워 후방 굴곡 자세 san pron. meaning bhujanga 부장가 코브라, 뱀 코브라 자세의 상징성 힌두교 사상에서 뱀은 세상을 떠받는 존재, 비슈누의 잠자리, 과거 세계의 잔재이자 미래 세계의 기원이다. 허물을 벗고 재생하는 뱀의 능력도 이러한 상징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뱀은 반복되는 창조와 소멸 과정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뱀의 중요성은 요가 철학과 수행에도 반영된다. 고대 힌두교 경전 관점에서 뱀은 우리 안에 잠재된 우주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 에너지는 '똘똘 감긴 것'이라는 의미의 '쿤달리니'라고 불린다. 쿤달리니는 깨어나게 되면 척추 아래에 머문다. 쿤달리니가 잠들어 있을 때, 우리는 의식이 각..
비라바드라아사나3(Virabhadrasasna III) 비라바드라아사나III(VirabhadrasanaIII) -. Type of Pose: Standing Poes(선 자세) / 비대칭형의 서서 균형 잡는 자세 -. 전사 자세 III, Warrior III san pron. meaning Virabhadra 비라바드라 시바의 분노의 화신, 가공할 위력을 가진 전사의 이름 비라바드라아사나의 세 번째 자세로 비라바드라아사나I 보다 휠씬 강도 높은 자세이다. 바닥을 지지하는 다리와 들어 올린 다리의 사용으로 균형, 평형, 힘을 느끼게 한다. 우리가 바르게 서 있지 않으면, 체중을 발뒤꿈치에다 실음으로써 균형적인 성장과 척추의 탄력성을 떨어트린다. 발 뒤꿈침에 힘을 주어 서 있는 것은 복부가 나오게 되고 심신의 기민함을 떨어뜨린다. 이 아사나는 발바닥으로 확실히 ..
비라바드라아사나2(Virabhadrasasna II) 비라바드라아사나II(VirabhadrasanaII) -. Type of Pose: Standing Poes(선 자세) / 비대칭형의 선 자세 -. 전사 자세 II, Warrior II san pron. meaning Virabhadra 비라바드라 시바의 분노의 화신, 가공할 위력을 가진 전사의 이름 전사 자세에는 세 가지 변형 형태가 있다(I, II, III). 그중 두 번째 자세로 단단한 하체의 기반으로 양 팔을 좌, 우로 뻗는 자세이다. 비라바드라아사나II에서는 비라바드라아사나I 에서보다 골반 및 척추의 비틀림이 덜하기 때문에 호흡이 보다 쉬 울 수 있다. 자세를 완성하게 되면 가슴이 완전히 펴지고, 심호흡에 도움이 된다. 허벅지 전체(대퇴사두근)와 엉덩이 주위(대둔근)에 자극을 줄 수 있다. 타다아..
비라바드라아사나(Virabhadrasasna I) 비라바드라아사나(Virabhadrasana) -. Type of Pose: Standing Poes(선 자세) -. Warrior I san pron. meaning Virabhadra 비라바드라 시바의 분노의 화신, 가공할 위력을 가진 전사의 이름 힌두 신화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신은 삼주신(trimuriti)으로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가 있다. 그 중 시바는 각 우주가 끝날 때, 세상을 파괴하는 역할이다. 요가의 창시자이기도 한 시비는 종종 회색빛 재로 뒤덮인 나체 고행자로 묘사 된다. 전사 자세에는 세 가지 변형 형태가 있다(I, II, III). 그 중 첫 번째 자세로 단단한 하체의 기반으로 양 팔을 위로 뻗어 올린 자세이다. 이 자세는 마니푸라(Manipura)차크라 활성화로 이어진다(3번 챠..